학부뉴스

DEPARTMENT OF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젊은과학자상] 수상!!

[젊은과학자상] 수상!!

40세 미만 과학기술인에게 주는 '젊은과학자상'은 박성준 KAIST 교수, 강지형 KAIST 교수, 임종우 서울대 교수, 김민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선임연구원이 받았다.
2023-11-09l연합뉴스
서울대-KAIST-생명연 공동 연구팀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체 연구 통한 코엔자임 Q 합성 경로 규명

서울대-KAIST-생명연 공동 연구팀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체 연구 통한 코엔자임 Q 합성 경로 규명

서울대는 화학부 이현우 교수, 생명과학부 김종서 교수, KAIST 서재명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이규선 박사 연구팀으로 이루어진 공동 연구팀이 세포 내 에너지 생성의 중심인 코엔자임 Q (CoQ) 합성에 필수적인 단백질 RTN4IP1(OPA10)의 중요성을 밝혔다고 27일 밝혔다.
2023-10-27l베리타스 알파
서울대-UNIST 공동연구팀 공간대사체 레이블링 툴인 GEN-Click 개발

서울대-UNIST 공동연구팀 공간대사체 레이블링 툴인 GEN-Click 개발

서울대는 서울대 화학부 이현우 교수와 UNIST 생명과학과 이창욱 교수 연구팀이 공동연구로 공간대사체를 표지할 수 있는 새로운 근접분자 표지기술인 Gen-Click 반응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2023-08-17l베리타스 알파
식물 유전체 3차원 구조 더 자세히 살핀다

식물 유전체 3차원 구조 더 자세히 살핀다

서울대는 서필준 화학부 교수 연구팀이 애기장대에서 획득한 초고해상도 데이터를 활용해 자세한 3차원 유전체 구조를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핵산연구’에 지난달 16일 게재됐다.
2023-09-05l동아사이언스
코로나19 바이러스 단백질 분해 원리 찾았다…

코로나19 바이러스 단백질 분해 원리 찾았다…"새 치료전략 제시"

서울대는 이현우 화학부 교수와 문지영 한국뇌연구원 연구원 공동 연구팀이 사람의 세포 내에서 존재하는 단백질인 ‘RNF5’가 코로나19 바이러스 단백질을 분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1일 밝혔다.
2023-08-01l동아사이언스
서울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 인산철 배터리 고속 방전 효율 저하 원인 규명

서울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 인산철 배터리 고속 방전 효율 저하 원인 규명

서울대학교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문제점인 고속 출력시 발생하는 큰 저항과 에너지손실에 대해 원인을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2023-08-04l베타뉴스
염소 생산 효율 높이는 단원자 촉매 구조 찾았다

염소 생산 효율 높이는 단원자 촉매 구조 찾았다

최창혁 포항공대(포스텍) 화학과 교수와 주상훈 서울대 화학부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진은 염소 생산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2023-07-12lChosunBiz
★2023년 과학정보통신의날 기념식 ★ <BR>박승범교수 [과학기술 포장] 수상

★2023년 과학정보통신의날 기념식 ★
박승범교수 [과학기술 포장] 수상

과학기술 포장은 인체 면역시스템 조절 연구, 자가 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개발에 기여한 박승범 서울대 교수와 mRNA 백신 및 치료제를 효과적으로 체내에 전달하는 시스템을 개발한 이혁진 이화여대 교수 등 총 5명이 수여받았다.
2023-04-21lEBN 산업경제
포항공대 새 총장에 김성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

포항공대 새 총장에 김성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

제9대 포항공대(포스텍) 총장으로 김성근(66)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이 선임됐다.
2023-06-15l연합뉴스
서울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 '하나의 벤젠 고리로 이뤄진 아주 작은 백색광 발광체' 발명

서울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 '하나의 벤젠 고리로 이뤄진 아주 작은 백색광 발광체' 발명

서울대는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이 하나의 벤젠 고리로 이뤄진 아주 작은 백색광 발광체를 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2023-04-11l베리타스 알파
서울대 화학부, 인공지능 활용 용매화 자유에너지 예측 모델 개발

서울대 화학부, 인공지능 활용 용매화 자유에너지 예측 모델 개발

용해는 용질과 용매가 서로 섞여서 용액을 만드는 가장 근본적인 화학 과정으로서, 화학 반응, 신약 개발, 소재 개발 등 많은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2019-09-27l교수신문
서울대 화학부 박승범 교수팀 표적단백질 분해제어 전략 통한 면역항암요법 효능 증대

서울대 화학부 박승범 교수팀 표적단백질 분해제어 전략 통한 면역항암요법 효능 증대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박승범 교수 연구팀은 의과대학 이동섭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발표한 '표적단백질 분해제어 전략을 통한 STING 기반 면역항암요법의 효능 증대' 연구 성과가 국제 우수학술지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표지 논문으로 발표됐다고 16일 밝혔다.
2023-03-16l베리타스 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