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는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강지형 교수가 '2024 아시아 젊은 과학자 펠로십'(AYSF) 수상자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강 교수는 '고분자 및 나노물질의 다차원 자기조립 통한 지능형 연성 소재 개발'에 대한 연구 업적을 인정받아 수상했다. 총 12명의 수상자 중 한국인은 강 교수가 유일하다. (서울=연합뉴스)
서울대학교 화학부 남좌민 교수는 나노과학기술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미국화학회 Nano Letters의 수석편집장으로 2024년 1월 1일부터 선임되었다. 남 교수는 앞으로 저널 총괄책임편집장(Editor-in-Chief)을 도와 투고된 논문들을 prescreen 및 사전 평가하고 각 논문을 부편집장들에게 배정하는 일을 수행하게 된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젊은 과학자 24명을 2024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Y-KAST)으로 선출했다고 11일 밝혔다. Y-KAST 회원은 만 43세 이하의 젊은 과학자들 중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연구자를 선발한다. 박사학위 후 국내에서 독립적 연구자로서 이룬 성과를 중점 평가한다.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the Leader로 이동합니다. UCF-서울대-KBSI 국제공동연구팀, 새로운 2차원 물질의 대면적 합성, 구조-전기적 특성 규명 및 고신축성 유연소자 개발 성공 기사보기연구성과보도자료**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서울대는 화학부 이현우 교수, 생명과학부 김종서 교수, KAIST 서재명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이규선 박사 연구팀으로 이루어진 공동 연구팀이 세포 내 에너지 생성의 중심인 코엔자임 Q (CoQ) 합성에 필수적인 단백질 RTN4IP1(OPA10)의 중요성을 밝혔다고 27일 밝혔다.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연합뉴스로 이동합니다.차세대 전지기술 "슈퍼커패시터" 작동원리 규명이온성 액체 슈퍼 커패시터의 작동원리 분자 수준 규명[연합뉴스 기사보기][베리타스 알파 기사보기][the Leader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