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뉴스

DEPARTMENT OF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

학부생도 연구를 한다구요?! | 학부생 연구발표회 VLOG | SNU Chem official
[남좌민 교수]

[남좌민 교수] "유전자 질병" 조기 진단 기술 세계 첫 개발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문화일보로 이동합니다. "유전자 질병" 조기 진단 기술 세계 첫 개발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7-07-11l문화일보
염소 생산 효율 높이는 단원자 촉매 구조 찾았다

염소 생산 효율 높이는 단원자 촉매 구조 찾았다

최창혁 포항공대(포스텍) 화학과 교수와 주상훈 서울대 화학부 교수가 이끄는 공동 연구진은 염소 생산 비용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촉매를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2023-07-12lChosunBiz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

세계 최초, 국내 유일 000이 서울대 화학부에 있다?! | 화학부 편견 리뷰 | SNU Chem Official
[김성근 교수] 김성근 서울대 교수팀, 퀴노프탈론 염료의 안정성 원인 규명

[김성근 교수] 김성근 서울대 교수팀, 퀴노프탈론 염료의 안정성 원인 규명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뉴스1로 이동합니다. 김성근 서울대 교수팀, 퀴노프탈론 염료의 안정성 원인 규명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7-07-03l뉴스1
서울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 인산철 배터리 고속 방전 효율 저하 원인 규명

서울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 인산철 배터리 고속 방전 효율 저하 원인 규명

서울대학교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은 리튬이온 배터리의 문제점인 고속 출력시 발생하는 큰 저항과 에너지손실에 대해 원인을 규명했다고 3일 밝혔다.
2023-08-04l베타뉴스
[김진수 교수] [제8회 홍진기 창조인상] 유전자 가위로 미래 바꾼다

[김진수 교수] [제8회 홍진기 창조인상] 유전자 가위로 미래 바꾼다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중앙일보로 이동합니다.[제8회 홍진기 창조인상] 유전자 가위로 미래 바꾼다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7-05-15l중앙일보
포항공대 새 총장에 김성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

포항공대 새 총장에 김성근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

제9대 포항공대(포스텍) 총장으로 김성근(66)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이사장이 선임됐다.
2023-06-15l연합뉴스
[민달희 교수] 암세포만 골라 죽이고 사라지는 치료물질 개발

[민달희 교수] 암세포만 골라 죽이고 사라지는 치료물질 개발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동아일보로 이동합니다.암세포만 골라 죽이고 사라지는 치료물질 개발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7-04-24l동아일보
서울대 화학부 박승범 교수팀 표적단백질 분해제어 전략 통한 면역항암요법 효능 증대

서울대 화학부 박승범 교수팀 표적단백질 분해제어 전략 통한 면역항암요법 효능 증대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박승범 교수 연구팀은 의과대학 이동섭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발표한 '표적단백질 분해제어 전략을 통한 STING 기반 면역항암요법의 효능 증대' 연구 성과가 국제 우수학술지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표지 논문으로 발표됐다고 16일 밝혔다.
2023-03-16l베리타스 알파
[김진수 교수]

[김진수 교수] "변형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가위보다 정확"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연합뉴스로 이동합니다."변형된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크리스퍼 가위보다 정확"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7-04-11l연합뉴스
서울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 금속효소 내부 숨겨진 소수성 아미노산 역할 규명

서울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 금속효소 내부 숨겨진 소수성 아미노산 역할 규명

서울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은 단백질 구조와 반응성은 거의 같지만 서로 다른 금속이온 망간과 니켈에 대해 반응성을 가지는 QueD 금속효소에 주목했다.
2023-03-07l베리타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