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뉴스

DEPARTMENT OF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전기장을 사용한 암모니아의 터널링 뒤집힘 현상 제어’

‘전기장을 사용한 암모니아의 터널링 뒤집힘 현상 제어’

강헌 교수팀은 강한 전기장을 외부에서 걸어주어 암모니아 분자의 터널링 뒤집힘 현상을 제어하고 이 변화 과정을 적외선분광학으로 관찰하였다.
2019-11-04lChemistry
[김진수 교수] 지방줄인 수퍼돼지의 탄생

[김진수 교수] 지방줄인 수퍼돼지의 탄생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조선일보로 이동합니다.지방줄인 수퍼돼지의 탄생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07-03l조선일보
서울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발광체 발명

서울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발광체 발명

서울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은 지금까지 알려진 분자 중에서 가장 크기가 작은 적색광 발광체를 발명하고, 긴 파장에서 빛이 나오는 광물리학적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형광 분자의 새로운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 이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Nature Communications에 9월 13일 온라인으로 발표되었다.
2021-09-15lVERITAS
[김진수 교수] 근육성장 막는 유전자 제거, 유전자가위로

[김진수 교수] 근육성장 막는 유전자 제거, 유전자가위로 "슈퍼 돼지" 만든다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한국경제로 이동합니다.근육성장 막는 유전자 제거, 유전자가위로 "슈퍼 돼지" 만든다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06-16l한국경제
KAIST-서울대, 생체 내 특이적 분비단백질 표지기법 개발

KAIST-서울대, 생체 내 특이적 분비단백질 표지기법 개발

공동연구팀은 근접 표지 효소를 활용해 생쥐의 혈장 내에서 특정 조직이 분비하는 단백질만을 분리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 이러한 체내 표지 기법은 지금까지의 체외 세포주 실험의 한계를 뛰어넘어 질병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및 치료 표적 발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진수 교수] 돼지 배아에 인간세포 주입...이식용 장기 만든다

[김진수 교수] 돼지 배아에 인간세포 주입...이식용 장기 만든다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한국경제로 이동합니다.돼지 배아에 인간세포 주입.. 이식용 장기 만든다.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06-10l한국경제
박승범 교수 연구팀 퇴행성 뇌신경 질환 치료의 새로운 작용기전을 밝혀

박승범 교수 연구팀 퇴행성 뇌신경 질환 치료의 새로운 작용기전을 밝혀

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병변중의 하나인 타우단백질의 응집을 저해하는 신규 약물 후보물질을 표현형 기반 스크리닝으로 발굴 세포내 작용기작을 밝히고 동물 모델에서 효능을 확인해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얻었다.
2021-02-24lVERITAS
[김진수 교수] 10년 내 멸종 위기 바나나

[김진수 교수] 10년 내 멸종 위기 바나나 "유전자 가위"로 막는다.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한국경제로 이동합니다.10년 내 멸종 위기 바나나 "유전자 가위"로 막는다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06-10l한국경제
수소기체 얻을 수 있는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수소기체 얻을 수 있는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물 전기분해를 통한 수소생산은 수소경제를 완성하기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이차전지 양극소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에 염화이온(Cl-)을 미세하게 도핑하는 방법으로 경제성, 효율성, 수명을 현저히 향상시킨 물 전기분해 양(+)극 촉매를 개발했다.
2021-03-02l매일경제
[김희준 교수]과학마니아를 위해 석학 총 출동... 25일부터

[김희준 교수]과학마니아를 위해 석학 총 출동... 25일부터 "카오스 강연" 시작

아래 제목을 클릭하면 "파이낸셜 뉴스"로 이동합니다. 과학마니아를 위해 석학 총 출동... 25일부터 "카오스 강연" 시작
2015-03-27l김희준 교수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생합성 모사한 비타민B3 합성법 개발"

지질대사에 필수적인 비타민 B3가 포함된 다양한 저분자 물질을 단일반응으로 얻을 수 있는 합성법이 소개됐다. 이는 다양한 생리활성 분자를 설계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0-12-10l뉴스1
[남좌민 교수]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남좌민 교수]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아래 제목을 클릭하면 "동아사이언스"로 이동합니다.암 전이 환경 그대로 모사하는 ‘인공 세포막’ 개발
2015-03-18l동아사이언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