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뉴스

DEPARTMENT OF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송윤주,임종우 교수] <br>
과기한림원 차세대 과학기술 리더 24인 'Y-KAST' 회원 선출

[송윤주,임종우 교수]
과기한림원 차세대 과학기술 리더 24인 'Y-KAST' 회원 선출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젊은 과학자 24명을 2024년도 한국차세대과학기술한림원 회원(Y-KAST)으로 선출했다고 11일 밝혔다. Y-KAST 회원은 만 43세 이하의 젊은 과학자들 중 학문적 성과가 뛰어난 연구자를 선발한다. 박사학위 후 국내에서 독립적 연구자로서 이룬 성과를 중점 평가한다.
2023-12-11lSCIENCE chosun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

진정한 갓생이 뭔지 보여드립니다 | 서울대 화학부 학부생 방학생활 V-log
단백질 구조 예측기술 평가대회(CASP) 2개 분야 1·2위

단백질 구조 예측기술 평가대회(CASP) 2개 분야 1·2위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동아사이언스로 이동합니다. 北 단백질 구조예측 AI세계 수준급…구글 참가 대회서 맹활약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8-12-18l동아사이언스
서울대-KAIST-생명연 공동 연구팀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체 연구 통한 코엔자임 Q 합성 경로 규명

서울대-KAIST-생명연 공동 연구팀 미토콘드리아 단백질체 연구 통한 코엔자임 Q 합성 경로 규명

서울대는 화학부 이현우 교수, 생명과학부 김종서 교수, KAIST 서재명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이규선 박사 연구팀으로 이루어진 공동 연구팀이 세포 내 에너지 생성의 중심인 코엔자임 Q (CoQ) 합성에 필수적인 단백질 RTN4IP1(OPA10)의 중요성을 밝혔다고 27일 밝혔다.
2023-10-27l베리타스 알파
[김성연 교수] 공학과 뇌과학, 마케팅을 혁신할 10명의 청년 과학자

[김성연 교수] 공학과 뇌과학, 마케팅을 혁신할 10명의 청년 과학자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동아사이언스로 이동합니다. 공학과 뇌과학, 마케팅을 혁신할 10명의 청년 과학자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8-11-15l동아사이언스
식물 유전체 3차원 구조 더 자세히 살핀다

식물 유전체 3차원 구조 더 자세히 살핀다

서울대는 서필준 화학부 교수 연구팀이 애기장대에서 획득한 초고해상도 데이터를 활용해 자세한 3차원 유전체 구조를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핵산연구’에 지난달 16일 게재됐다.
2023-09-05l동아사이언스
[정택동 교수] 역전기투석 기반 마른 소금 전지

[정택동 교수] 역전기투석 기반 마른 소금 전지

정택동 교수팀은 역전기투석 장치에 최초로 앙금생성반응을 도입하여 장시간 작동하는 이온 배터리를 개발하였다. 이에 Chemical Science는 해당 논문을 2018 HOT Article Collection으로 뽑았고 Chemistry World에서 관련내용을 보도하였다.논문보기
2018-10-02lChemistry World
2022 노벨화학상 ‘생물직교화학’ 국내 연구팀이 고도화 “두 가지 질병 한번에 진단”

2022 노벨화학상 ‘생물직교화학’ 국내 연구팀이 고도화 “두 가지 질병 한번에 진단”

박승범 서울대 화학부 교수는 18일 “두 가지 이상의 질병 관련 마커를 동시에 추적할 수 있는 생물직교화학 도구를 개발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 12월호 표지논문으로 발표했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기존에는 세포 내 2개 이상의 표적을 하나의 프로브로 탐지할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2023-12-18l매일경제
[김성근 교수]유전자가위 정확도 1만배↑...유전질환 치료 빅뱅

[김성근 교수]유전자가위 정확도 1만배↑...유전질환 치료 빅뱅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매일경제 MBN로 이동합니다. 유전자가위 정확도 1만배↑...유전질환 치료 빅뱅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8-06-08l매일경제
서울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 '하나의 벤젠 고리로 이뤄진 아주 작은 백색광 발광체' 발명

서울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 '하나의 벤젠 고리로 이뤄진 아주 작은 백색광 발광체' 발명

서울대는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이 하나의 벤젠 고리로 이뤄진 아주 작은 백색광 발광체를 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2023-04-11l베리타스 알파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

구글링의 중요성 | 물리화학 분야 설명 1편 with 이정호 교수님 | SNU Chem official
[남좌민 교수팀] 초고감도-고신뢰도 유전자검지 및 세포이미징용 라만 나노프로브 개발

[남좌민 교수팀] 초고감도-고신뢰도 유전자검지 및 세포이미징용 라만 나노프로브 개발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베리타스 알파"로 이동합니다. 초고감도-고신뢰도 유전자검지 및 세포이미징용 라만 나노프로브 개발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8-01-26l베리타스 알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