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뉴스

DEPARTMENT OF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 화학부 강지형 교수팀, 리튬금속 전지용 비발화 고성능 전해질 소재 개발

서울대 화학부 강지형 교수팀, 리튬금속 전지용 비발화 고성능 전해질 소재 개발

서울대 화학부(제1저자 장진하 박사 및 강지형 교수 외), UCLA(제1저자 총젠 왕 및 유장 리 교수 외) 및 LG 에너지솔루션 (LG Energy Solution-KAIST Frontier Research Laboratory) 연구진들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온성 플라스틱 결정이 주입된 신개념 전해질을 개발할 수 있었다.
2025-03-13l베리타스 알파
서울대 화학부 민달희 교수,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수상

서울대 화학부 민달희 교수, '과학기술훈장 도약장' 수상

민달희 CTO(서울대 화학부 교수)가 지난 22일 열린 '2019년 과학·정보통신의 날 기념식'에서 '과학기술훈장 도약장'을 받았다고 23일 밝혔다.
2019-04-23l머니투데이
생명의 비대칭성, 클립 모양 분자로 그 기원을 설명하다

생명의 비대칭성, 클립 모양 분자로 그 기원을 설명하다

서울대학교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은 분자 클립을 이용해 생명체의 단일 카이랄성 기원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발견했다.
2025-01-17l대학지성

"AI와 과학의 융합, 사회적 혁신 향한 도약"... '한국과학AI포럼' 공식 출범

국내 과학AI 분야의 석학과 전문가들이 뜻을 모아 지난 5일, ‘한국과학AI포럼(Korea Science AI Forum. 이하, KSAIF)’ 창립총회를 개최하고 공식 출범했다. <한국과학AI포럼 대표 발기인 석차옥, 김우연 외 18명>
2025-07-07l인공지능 신문
서울대·울산대, AI활용 새로운 면역항암 치료용 효소 찾아

서울대·울산대, AI활용 새로운 면역항암 치료용 효소 찾아

서울대학교는 화학부 및 생명과학부, 제약학과 연구진 및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및 갤럭스와의 공동연구로 AI를 활용한 면역항암 치료용 효소를 발굴했다고 4일 밝혔다.
2025-01-04l네이버뉴스
대웅제약, 서울대와 손잡고 내성 극복 독감 치료제 개발 추진

대웅제약, 서울대와 손잡고 내성 극복 독감 치료제 개발 추진

대웅제약은 서울대 화학부 이연 교수 연구팀과 함께 진행하는 '구아니딘 오셀타미비르를 활용한 장기지속형 항바이러스제 개발' 연구가 보건복지부의 감염병 예방·치료 기술개발사업 신규 지원 대상 과제로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2024-09-11l연합뉴스
찢어지지 않는 자가 치유 소재 개발…소프트 로봇 등에 적용

찢어지지 않는 자가 치유 소재 개발…소프트 로봇 등에 적용

강지형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차세대 연성 전자기기가 다양한 환경에서 장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적 토대를 마련했다"며 "후속 연구를 통해 제조공정을 최적화하고 다양한 온·습도 조건에서도 높은 기계적 물성과 자가 치유 능력이 있는 재료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2024-12-04l연합뉴스
韓 연구팀, '이산화탄소→에틸렌 전환' 촉매 매커니즘 규명…생성 효율 3배↑

韓 연구팀, '이산화탄소→에틸렌 전환' 촉매 매커니즘 규명…생성 효율 3배↑

서울대, 카이스트 공동 연구팀이 이산화탄소를 에틸렌으로 전환하는 고효율 전기화학 촉매의 형성 메커니즘을 최초로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촉매 성능을 극대화해 에틸렌 생성 효율을 3배 이상 향상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는 이산화탄소 전환 촉매 개발에 있어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4-10-14l이데일리
제20회 경암상에 [박승범 교수] 수상

제20회 경암상에 [박승범 교수] 수상

경암교육문화재단은 30일 제20회 경암상 수상자를 발표했다. 박승범 교수는 유기화학, 생명과학, 의약학과 화학생물학의 실질적 융합을 통해서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2024-09-30l연합뉴스

"나노 레터스" 부편집장 선임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조선뉴스레터]로 이동됩니다.서울대 남좌민 교수, "나노 레터스" 부편집장 선임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20-01-07l나노 레터스
은 이용해 암모니아 생산 효율 높인다

은 이용해 암모니아 생산 효율 높인다

서울대는 황윤정 화학부 교수 연구팀이 은을 활용해 리튬을 사용한 '질소 환원 반응(Li-NRR)'의 생산 반응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2024-08-19l동아사이언스
“지긋지긋 코로나 잡아라”…서울대, 변이 단번에 잡는 항바이러스 내놨다

“지긋지긋 코로나 잡아라”…서울대, 변이 단번에 잡는 항바이러스 내놨다

국내 연구팀이 이런 변이에도 효과적인 항바이러스 물질을 개발했다. ‘Nsp1’이란 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이 물질은 다양한 변이에도 광범위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것으로 확인됐다. 지속해서 변이하는 바이러스에 대응할 만능 치료제 개발의 가능성을 높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2024-08-16l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