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뉴스

DEPARTMENT OF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 연구팀, 질소산화물의 탈질화·고부가화 촉매 반응 개발

서울대 연구팀, 질소산화물의 탈질화·고부가화 촉매 반응 개발

한국연구재단은 서울대 이윤호 교수 연구팀이 질소산화물(NOx)을 전환하고 고부가화할 수 있는 새로운 니켈(Ni) 촉매 반응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2022-03-06lNEWS1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3탄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3탄

서울대 화학부 학생들은 마약을 합성할 수 있을까? | 화학부 편견 리뷰 | SNU Chem Official
[김진수 교수]

[김진수 교수] "유전자 가위"로 세계 처음 벼 맞춤 개량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중앙일보로 이동합니다."유전자 가위"로 세계 처음 벼 맞춤 개량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2-25l중앙일보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2탄

서울대학교 화학부 유튜브 채널-2탄

서울대 화학부가 수능 뽀갠 썰 푼다 | 수능 꿀팁 대방출 | SNU Chem Official
[김진수 교수]

[김진수 교수]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에 돈 몰린다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Chosun Biz로 이동합니다."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기술"에 돈 몰린다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2-23lChosun Biz
SPARK Biopharma: Breaking New Ground in Phenotypic Drug Discovery

SPARK Biopharma: Breaking New Ground in Phenotypic Drug Discovery

SPARK Biopharma: Breaking New Ground in Phenotypic Drug Discovery
2021-12-23lSTARTUPCITY
[김진수 교수] 유전자가위·에볼라 백신…세계를 뒤흔든 과학기술

[김진수 교수] 유전자가위·에볼라 백신…세계를 뒤흔든 과학기술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한국경제로 이동합니다."유전자 가위"로 세계 처음 벼 맞춤 개량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2-18l한국경제
[바이오] 추우면 이불덮고 더우면 외투벗고…'체온유지 행동' 뇌신경회로 찾았다

[바이오] 추우면 이불덮고 더우면 외투벗고…'체온유지 행동' 뇌신경회로 찾았다

김성연 서울대 화학부·유전공학연구소 교수 연구진은 최근 전뇌 외측 시상하부에서 'Vgat' 유전자를 발현하는 억제성 뉴런들이 체온 유지 행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2021-11-03l매일경제
[김진수 교수] 올해 과학기술계 최대 화두는

[김진수 교수] 올해 과학기술계 최대 화두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한겨례로 이동합니다.올해 과학기술계 최대 화두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2-18l한겨례
서울대 연구진, 면역체계 -음식물 관계 분자적 규명

서울대 연구진, 면역체계 -음식물 관계 분자적 규명

박승범 교수는 "'당신이 무엇을 먹었는지 말해달라. 그러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려주겠다'는 유명한 문장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1-11-11l연합뉴스
[박충모 교수] 서울대 교육, 학술 연구상에 윤영관 교수 등 10명

[박충모 교수] 서울대 교육, 학술 연구상에 윤영관 교수 등 10명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헤럴드경제로 이동합니다.[포토뉴스]서울대 교육, 학술 연구상에 윤영관 교수 등 10명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1-18l헤럴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