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뉴스

DEPARTMENT OF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KAIST-서울대, 생체 내 특이적 분비단백질 표지기법 개발

KAIST-서울대, 생체 내 특이적 분비단백질 표지기법 개발

공동연구팀은 근접 표지 효소를 활용해 생쥐의 혈장 내에서 특정 조직이 분비하는 단백질만을 분리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 이러한 체내 표지 기법은 지금까지의 체외 세포주 실험의 한계를 뛰어넘어 질병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및 치료 표적 발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고온 대응 식물 생존 원리 발견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고온 대응 식물 생존 원리 발견

최근 이상 기온에 대응해 식물은 자체적으로 적극적인 방어 전략을 구축하고 능동적으로 적응함으로써 고온에서도 최적의 생장을 유지하고 나아가 고온에 의한 세포 피해나 식물 자체가 고사하는 상황을 효율적으로 극복하는 분자적 원리를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
2020-11-30l베리타스알파
[김진수 교수] DNA 삽입 없이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

[김진수 교수] DNA 삽입 없이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경향신문으로 이동합니다.DNA 삽입 없이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0-21l경향신문
박승범 교수 연구팀 퇴행성 뇌신경 질환 치료의 새로운 작용기전을 밝혀

박승범 교수 연구팀 퇴행성 뇌신경 질환 치료의 새로운 작용기전을 밝혀

치매 파킨슨병과 같은 퇴행성 뇌신경 질환의 병변중의 하나인 타우단백질의 응집을 저해하는 신규 약물 후보물질을 표현형 기반 스크리닝으로 발굴 세포내 작용기작을 밝히고 동물 모델에서 효능을 확인해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 개발에 실마리를 얻었다.
2021-02-24lVERITAS
[김진수 교수] 국내 연구진, DNA 사용않고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

[김진수 교수] 국내 연구진, DNA 사용않고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연합뉴스로 이동합니다.국내 연구진, DNA 사용않고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0-21l연합뉴스
수소기체 얻을 수 있는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수소기체 얻을 수 있는 물 전기분해 촉매 개발

물 전기분해를 통한 수소생산은 수소경제를 완성하기 위해 필수적이기 때문에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이차전지 양극소재인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에 염화이온(Cl-)을 미세하게 도핑하는 방법으로 경제성, 효율성, 수명을 현저히 향상시킨 물 전기분해 양(+)극 촉매를 개발했다.
2021-03-02l매일경제
삼성 지원 연구팀, 세계 최초 DNA 컴퓨팅 인공신경망 구현

삼성 지원 연구팀, 세계 최초 DNA 컴퓨팅 인공신경망 구현

삼성이 지원한 서울대 화학부 남좌민 교수 연구팀이 DNA 컴퓨팅 아키텍처를 이용한 나노입자 인공신경망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2020-08-27l서울경제
[김진수 교수] CRISPR tweak may help gene-edited crops bypass biosafety regulation

[김진수 교수] CRISPR tweak may help gene-edited crops bypass biosafety regulation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Nature News로 이동합니다.CRISPR tweak may help gene-edited crops bypass biosafety regulation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0-21lNature News
한국연구재단

한국연구재단 "서울대, 생합성 모사한 비타민B3 합성법 개발"

지질대사에 필수적인 비타민 B3가 포함된 다양한 저분자 물질을 단일반응으로 얻을 수 있는 합성법이 소개됐다. 이는 다양한 생리활성 분자를 설계할 수 있는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020-12-10l뉴스1
[박승범 교수] 노벨상을 향해 뛴다

[박승범 교수] 노벨상을 향해 뛴다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파이낸셜 뉴스로 이동합니다.노벨상을 향해 뛴다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08-20l파이낸셜 뉴스
'껌만 씹어도 배부른 이유' 찾았다

'껌만 씹어도 배부른 이유' 찾았다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생리학자들은 동물의 소화관에 구멍을 내서 물이 위에서 새어나가게 하거나 위에 풍선을 넣고 바람을 불어넣어 부풀린 뒤 먹이를 먹게 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2020-04-09l동아사이언스
‘전기장을 사용한 암모니아의 터널링 뒤집힘 현상 제어’

‘전기장을 사용한 암모니아의 터널링 뒤집힘 현상 제어’

강헌 교수팀은 강한 전기장을 외부에서 걸어주어 암모니아 분자의 터널링 뒤집힘 현상을 제어하고 이 변화 과정을 적외선분광학으로 관찰하였다.
2019-11-04lChem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