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뉴스

DEPARTMENT OF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바이오] 추우면 이불덮고 더우면 외투벗고…'체온유지 행동' 뇌신경회로 찾았다

[바이오] 추우면 이불덮고 더우면 외투벗고…'체온유지 행동' 뇌신경회로 찾았다

김성연 서울대 화학부·유전공학연구소 교수 연구진은 최근 전뇌 외측 시상하부에서 'Vgat' 유전자를 발현하는 억제성 뉴런들이 체온 유지 행동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했다.
2021-11-03l매일경제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고온 대응 식물 생존 원리 발견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 고온 대응 식물 생존 원리 발견

최근 이상 기온에 대응해 식물은 자체적으로 적극적인 방어 전략을 구축하고 능동적으로 적응함으로써 고온에서도 최적의 생장을 유지하고 나아가 고온에 의한 세포 피해나 식물 자체가 고사하는 상황을 효율적으로 극복하는 분자적 원리를 세계 최초로 증명했다.
2020-11-30l베리타스알파
[김진수 교수] DNA 삽입 없이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

[김진수 교수] DNA 삽입 없이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경향신문으로 이동합니다.DNA 삽입 없이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0-21l경향신문
서울대 연구진, 면역체계 -음식물 관계 분자적 규명

서울대 연구진, 면역체계 -음식물 관계 분자적 규명

박승범 교수는 "'당신이 무엇을 먹었는지 말해달라. 그러면 당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려주겠다'는 유명한 문장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개발의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2021-11-11l연합뉴스
[김진수 교수] 국내 연구진, DNA 사용않고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

[김진수 교수] 국내 연구진, DNA 사용않고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연합뉴스로 이동합니다.국내 연구진, DNA 사용않고 농작물 유전자 교정 성공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0-21l연합뉴스
[김성연 교수]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김성연 교수]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 선정

우리 학부의 김성연 교수 연구진에서 2020년에 Nature지에 출판한 연구 내용이 2021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 선정되었습니다.
2021-11-01l아이뉴스24
삼성 지원 연구팀, 세계 최초 DNA 컴퓨팅 인공신경망 구현

삼성 지원 연구팀, 세계 최초 DNA 컴퓨팅 인공신경망 구현

삼성이 지원한 서울대 화학부 남좌민 교수 연구팀이 DNA 컴퓨팅 아키텍처를 이용한 나노입자 인공신경망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
2020-08-27l서울경제
[김진수 교수] CRISPR tweak may help gene-edited crops bypass biosafety regulation

[김진수 교수] CRISPR tweak may help gene-edited crops bypass biosafety regulation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Nature News로 이동합니다.CRISPR tweak may help gene-edited crops bypass biosafety regulation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10-21lNature News
서울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발광체 발명

서울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세상에서 가장 작은 발광체 발명

서울대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은 지금까지 알려진 분자 중에서 가장 크기가 작은 적색광 발광체를 발명하고, 긴 파장에서 빛이 나오는 광물리학적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규명함으로써, 형광 분자의 새로운 설계 전략을 제시했다. 이 결과는 국제학술지인 Nature Communications에 9월 13일 온라인으로 발표되었다.
2021-09-15lVERITAS
[박승범 교수] 노벨상을 향해 뛴다

[박승범 교수] 노벨상을 향해 뛴다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파이낸셜 뉴스로 이동합니다.노벨상을 향해 뛴다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5-08-20l파이낸셜 뉴스
KAIST-서울대, 생체 내 특이적 분비단백질 표지기법 개발

KAIST-서울대, 생체 내 특이적 분비단백질 표지기법 개발

공동연구팀은 근접 표지 효소를 활용해 생쥐의 혈장 내에서 특정 조직이 분비하는 단백질만을 분리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했다. 이러한 체내 표지 기법은 지금까지의 체외 세포주 실험의 한계를 뛰어넘어 질병과 관련된 바이오마커 및 치료 표적 발굴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기장을 사용한 암모니아의 터널링 뒤집힘 현상 제어’

‘전기장을 사용한 암모니아의 터널링 뒤집힘 현상 제어’

강헌 교수팀은 강한 전기장을 외부에서 걸어주어 암모니아 분자의 터널링 뒤집힘 현상을 제어하고 이 변화 과정을 적외선분광학으로 관찰하였다.
2019-11-04lChemi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