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뉴스

DEPARTMENT OF CHEM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서울대 화학부 박승범 교수팀 표적단백질 분해제어 전략 통한 면역항암요법 효능 증대

서울대 화학부 박승범 교수팀 표적단백질 분해제어 전략 통한 면역항암요법 효능 증대

서울대 자연과학대학 화학부 박승범 교수 연구팀은 의과대학 이동섭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발표한 '표적단백질 분해제어 전략을 통한 STING 기반 면역항암요법의 효능 증대' 연구 성과가 국제 우수학술지 'Angewandte Chemie International Edition' 표지 논문으로 발표됐다고 16일 밝혔다.
2023-03-16l베리타스 알파
[박충모 교수] 서울대 연구진, 식물 지구온난화 대응 원리 세계최초 규명

[박충모 교수] 서울대 연구진, 식물 지구온난화 대응 원리 세계최초 규명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뉴시스로 이동합니다.서울대 연구진, 식물 지구온난화 대응 원리 세계최초 규명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7-04-07l뉴시스
서울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 금속효소 내부 숨겨진 소수성 아미노산 역할 규명

서울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 금속효소 내부 숨겨진 소수성 아미노산 역할 규명

서울대 화학부 송윤주 교수 연구팀은 단백질 구조와 반응성은 거의 같지만 서로 다른 금속이온 망간과 니켈에 대해 반응성을 가지는 QueD 금속효소에 주목했다.
2023-03-07l베리타스
서울대 화학부 유튜브 채널-1탄

서울대 화학부 유튜브 채널-1탄

문과생이 서울대 화학부 온 썰 | 서울대 화학부 소개 | SNU Chem Official 안녕하세요~ 서울대 화학부 학부생들이 운영하는 유튜브 '서울대 화학부유튜브' 입니다! 영상 재밌게 보셨다면 구독,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김성연 교수]김성연 서울대 교수 ‘노벨상 펀드’ 지원받아

[김성연 교수]김성연 서울대 교수 ‘노벨상 펀드’ 지원받아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이동합니다.김성연 서울대 교수" 노벨상 펀드" 지원받아  기사보기국내 최연소로 "노벨상 펀드" 받는 김성연 교수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7-03-20l동아사이언스
서울대 연구진, 세계 최초 기계결합 나노머신 구현

서울대 연구진, 세계 최초 기계결합 나노머신 구현

서울대 연구진이 영구적으로 분자 구조가 끊어지지 않도록 기계 결합한 새로운 나노머신을 세계 최초로 합성했다. 남좌민 화학부 교수 연구진이 영구적으로 끊어지지 않도록 기계적으로 엮인 나노미터 크기의 나노카테닌(nanocatenane) 구조를 합성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나노머신을 구현했다고 5일 전했다.
2022-08-05l연합뉴스
[김성근, 김진수 교수] 2016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 5 선정

[김성근, 김진수 교수] 2016 국내 바이오분야 연구성과 및 뉴스 Top 5 선정

Link : BRIC_김성근 교수님Link : BRIC_김진수 교수님**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서울대 화학부 임종우 교수팀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핵심 기술 개발

서울대 화학부 임종우 교수팀 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핵심 기술 개발

서울대 화학부 임종우 교수 연구팀이 반도체에 사용되는 실리콘 웨이퍼를 전고체 배터리에 적용해 고용량의 안정적인 구동에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2023-04-03l베리타스 알파
[김성근 교수팀]

[김성근 교수팀]"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작동 방식…분자 수준에서 규명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KBS NEWS로 이동합니다.‘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작동 방식…분자 수준에서 규명 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6-11-04lKBS NEWS
서울대 빛을 이용한 방향족 알코올 합성 효소 개발

서울대 빛을 이용한 방향족 알코올 합성 효소 개발

서울대는 화학부 송윤주 연구팀이 가시광선을 이용하여, 수용액 상에서 방향족 알코올과 같이 유용한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생촉매이자 인공 금속효소를 설계했다고 27일 밝혔다.
2023-02-27l베리타스
[박충모 교수] 식물 뿌리

[박충모 교수] 식물 뿌리 "빛"도 감지..."뿌리 뇌" 가설 규명법 찾아

아래의 기사보기를 누르시면 머니투데이로 이동합니다.식물 뿌리 "빛"도 감지..."뿌리 뇌" 가설 규명법 찾아기사보기**저작권 법에 의해 기사 원문을 기재하지 않고 주소를 링크합니다.
2016-11-04l머니투데이
서울대 이동환 교수 연구진 단일 세포 수준 조류인플루엔자 검출 방법 발명

서울대 이동환 교수 연구진 단일 세포 수준 조류인플루엔자 검출 방법 발명

서울대는 화학부 이동환 교수 연구진이 세포 소기관인 소포체 내의 미세한 환경 변화를 감지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에서만 밝게 빛나는 형광체를 개발해 단일 세포 수준에서 조류인플루엔자를 검출하는 방법을 발명했다고 5일 밝혔다.
2022-10-05l베리타스 알파